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핵심만

꿀랭이네 2023. 9. 6. 22:55

청년도약계좌는 월 70만 원 5년간 납입하면 5,000만 원 모을 수 있는 정부 지원 금융상품입니다. 정부에서 소득이 적은 청년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겠다는 것이 핵심이므로 아래 내용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에게 은행에서 연 최대 6% 금리와 정부는 기여금 형태로 5년간 지원해 주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까지 줄 테니까 목돈을 마련하라는 정부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쉽게 말하면 청년, 은행, 그리고 국가가 합심해서 목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물론 5년이라는 기간 동안 안정적인 소득이 요구되기 때문에 쉬운 것만 아니지만 그동안 납입한 돈은 차곡차곡 쌓여 있기도 하고 이런저런 이유로 부담이 된다면 해지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정부 정책은 예산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조기 소진시에는 어쩔 수 없이 마감해야 하므로 우선 먼저 가입하는 것이 항상 유리합니다. 참고로 청년도약계좌 가입 수요가 300만 명이 달할 것으로 보고 올해 3,678억 원 예산이 편성되었다고 합니다. 정부 정책들을 빠르게 알고 싶으시면 복지로 멤버십에 가입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반응형

 

◾ 만 19세 ~ 만 34세 이하

◾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청년희망적금 미가입자 ( 중복가입 불가)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연령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할 수 있는 연령은 만 19세부터 만 34세 이하가 대상자입니다. 군필자인 경우는 최대 6년까지 연장 됩니다. 사병으로 다녀온 경우는 2년이 연장되어 만 36세까지이며, 장교나 부사관으로 군 복무를 한 경우는 만 39세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연령기준 만 19세 이하  ~  만 39세 이하
출생연도 기준 1989년 출생자  ~  2004년 출생자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기준

개인소득(근로, 사업소득)이 연 7,5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기준 대상입니다. 단, 6,000만 원 ~ 7,500만 원 소득 구간인 경우는 정부 기여금은 받을 수 없으며 대신 은행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은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이 되는 소득은 전년도 소득으로 판단하며 또한 소득이 적을수록 정부 기여금을 더 많이 받는 구조입니다. 적은 돈을 불입하고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가구 소득별 기준

2023년 가구 중위 소득 180% 이하가 해당 소득 기준입니다.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180% 3,740,206 6,221,079 7,982,669 9,721,735 11,395,238 13,010,366

 

가구 소득 기준을 판단 할 때는 세대주 기준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가구원별 소득을 확인할 때는 본인이 세대주인지 세대원인지가 중요한 산정 기준이 됩니다. 왜냐하면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다면 세대원이 되기 때문에 부모님의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하여 판단합니다. 그래서 부모님의 소득이 많다면 세대분리를 하여 독립된 세대주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독립된 세대주인 경우는 매월 3,740,206원 보다 소득이 적으면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기타 기준

지난해 나온 청년희망적금과 올 해 나온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참고로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부으면 1,300만 원 받는 정책적금이며 올해 나온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5,000만 원에 목돈을 손에 쥘 수 있는 정책 상품입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를 제외한 대부분 가입자들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혜택

반응형

 

청년, 은행, 정부 3박자에 맞춰서 5,000만 원이라는 목돈이 만들어지는 구조입니다. 청년은 매월 70만 원을 불입하고 은행에서는 최대 연 6% 금리로 원금을 늘려주고 정부에선 청년들이 자립할 수 있게 정부 기여금 형태와 은행이자에 대한 비과세를 지원해 주는 것입니다. 쉽게 정리하면 원금 + 연 6%금리 + 정부 기여금 + 비과세 혜택을 합산해서 만드는 개념입니다. 아래 표로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개인소득(연) 납입한도(월)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정부 지원금
2,4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 2.4만원
2,400만원 ~
3,600만원 이하
70만원 50만원 4.6% 2.3만원
3,600만원 ~
4,800만원 이하
70만원 60만원 3.7% 2.2만원
4,800만원 ~
6,000만원 이하
70만원 70만원 3.0% 2.1만원
6,000만원 ~
7,500만원 이하
70만원 - - 기여금×  비과세○

 

위 표와 같이 소득이 적으면 정부에서 더 많이 지원해 주겠다는 방침입니다. 따라서 2,400만 원 소득 구간을 예를 들면 매월 70만 원을 불입하여도 기여금 지급한도인 40만 원까지만 인정해 주겠다는 내용입니다. 요약하면 매월 기여금 지급한도 금액인 40만 원을 매월 납입하면 정부에서 매월 24,000원을 기여금 형태로 적립해서 만기 시 준다는 설명입니다. 

 

소득이 연 7,000만 원인 청년은 매월 70만 원을 납입해야 정부 기여금 21,000원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소득이 적은 청년과 소득이 많은 청년들에게 정부에서 차등으로 지원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모의계산

 

원금, 은행이자, 정부 기여금을 합산한 금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개인소득(연) 매월 납입액 원금 합계 정부지원금 합계 은행예상이자 예상 수령액
2,400만원 이하 40만원 2,400만원 144만원 약 388만원 약 2,932만원
2,400만원 ~
3,600만원 이하
50만원 3,000만원 138만원 약 479만원 약 3,616만원
3,600만원 ~
4,800만원 이하
60만원 3,600만원 132만원 약 569만원 약 4,301만원
4,800만원 ~
6,000만원 이하
70만원 4,200만원 126만원 약 660만원 약 4,985만원

 

연 소득이 낮은 청년들에게 정부 지원금을 많이 받는다는 것이 중요 포인트입니다. 물론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분들도 매월 70만 원씩 납입한다면 5년 뒤 5,000만 원이라는 목돈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조금은 무리를 해서라도 준비하면 이후에 여러 가지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은 일반 시중은행 7군데 (국민, 신한, 하나, 우리, 기업, 농협, 제일)와 지방은행 5군데(부산, 대구, 광주, 경남, 전북) 총 12개 은행에서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신청은 영업점에 직접 방문하는 방법과 은행 앱을 통한 2가지 방법으로 계좌를 만들 수 있는데 당연히 은행 앱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겠죠. 

 

아무 때나 통장을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라 매월 초에 신청을 받아서 계좌를 만들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심사를 한 후 개별로 자세하게 통보를 합니다. 유자격자인 경우 익월 중순경에 계좌를 개설하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먼저 주거래 은행이 있다면 추가적인 혜택이 있는지 확인한 후 다른 은행도 같이 알아보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